학습이란 무엇인가 9편 + <수국비 광고>
저는 앞선 시리즈에서 효과적으로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학습 방법으로 ‘유형별 학습’을 잠깐 제시한 바 있습니다. 같은 유형을 같은 방법으로 풀어야 제대로 학습한 것이라는 말을 지겹도록 반복하고 있습니다.
8편에서는 좀 더 빠른 알고리즘의 중요성에 대해서 설명해보았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좀 더 통합적인 알고리즘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돌이켜보면 영어에 대해서 선천적인 재능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특별히 많은 노력과 시간을 쏟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1등급이 곧잘 나왔습니다.(그리고 절대등급으로 전환될 때 피눈문을 흘렸었죠) 저는 영어 때문에 그렇게 큰 스트레스를 받거나 고민을 오래한 적이 없습니다. 그런데 삼수할 때 매우 중요한 사실을 인지하게 됩니다.
저는 여태 영어 문제를 풀면서 단, 한번도, 유형을 나눈 적이 없습니다. 당장 모의고사나 EBS 교재를 보면 영어 문제는 정말 다양한 유형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저는 세 번째 수능을 칠 때까지 영어 문제를 굳이 다르게 구분한 적이 없습니다.(물론 세 번째 수능 영어도 처음 칠때처럼 아무생각 없이 그냥 읽고 풀었습니다)
한번 생각해 보십시오. 요지추론, 빈칸추론, 제목추론, 글쓴이의 의도 등등 영어 문제는 수없이 다양한 질문을 하고 있습니다. 제가 들어보니 많은 학생들은 이러한 다른 질문을 서로 다른 문제라고 판단하는 것 같더군요. 제게는 매우 충격적인 사실이었습니다. 그 많은 질문을 따로따로 어떻게 외우나 신기하더군요.
저는 단언컨대 단 한 번도 영어 문제를 질문별로 나눈 적이 없습니다. 그냥 속된말로 닥치고 풀었습니다. 그냥 읽고 이해해서 답을 체크했습니다. 요지문제는 이렇게, 빈칸문제는 요렇게, 제목문제는 저렇게 따로따로 나눈 적이 단 한 번도 없습니다.
문제가 요지를 묻던 빈칸을 묻던 제목을 묻던 저는 항상 일관되게 읽고 내용을 이해한 다음 답을 체크했었습니다. 제목문제는 이렇게 풀어야 해. 요지문제는 저렇게 풀어야 해. 그런 설명을 살면서 한 번도 귀담아 들은 적이 없습니다. 결국 영어시험에 나오는 글들은 읽고 이해하라고 써져있는 것들입니다. 제목추론 문제라고 해서 특별한 테크닉이 필요하지 않았습니다. 읽고 이해하면 장땡이었습니다.
이번에는 영어 단어 하나를 예시로 들어보겠습니다.
acquired라는 단어가 있습니다. 여러 가지 뜻이 있습니다. 습득한. 후천적인. 등등
하루는 영어 선생님이 어떤 지문을 설명하시면서 이런 말씀을 하시게 됩니다
“여기서 acquired는 ‘습득한’으로 이해하면 안되요. 여기서 쓰이는 뜻은 ‘후천적인’이에요”
이 설명을 들은 저는 무슨 생각을 했을까요?
“아니 습득하다는 거나 후천적이라는 거나 무슨 차이이지? 선천적이지 않으니까 습득했다는 것일테고, 그것은 결국 후천적이라는 말 아닌가? 서로 같은 뜻 아닌가?”(대표적으로 AIDS는 ‘후천성 면역 결핍증’이라고 합니다. 살아가면서 나중에 얻은 병이니까 ‘후천성’이라고 하는게 당연하겠지요?)
이때 제가 상대적으로 다른 과목보다 영어를 잘하는 비결을 스스로 깨닫게 됩니다. 저는 영어 공부에 특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다른 과목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시간을 들여서 공부했습니다. 영어 단어 외우는 것도 정말 귀찮아해서 거의 뜻을 한두개씩만 외웠습니다.
acquire이라는 영어단어의 뜻을 하나로 외울 수 있는데(습득한), 이것을 굳이 두 개로 외우면(습득한, 후천적인) 어떤 효과를 가져올까요? 우리의 뇌는 한정되어 있습니다. 머릿속에 집어넣을 수 있는 것이 무한하지 않습니다. 한 개를 새로 얻게 되면 무엇인가 한 개를 포기하게 될 것입니다. 이런 것들이 하나씩 쌓이면 우리 뇌에게 부담이 됩니다.
(한 단어에 정말 다양한 뜻이 적혀있는 영어사전.
출처 : http://dpg.danawa.com/bbs/view?boardSeq=28&listSeq=943095&past=Y)
외국인이 한국어를 배운다고 상상해봅시다.
철수가 “엄마 나 오늘 1등 먹었어” 라고 말했다는 문장이 있습니다.
이때 이 외국인은 어떻게 해석할까요? 1등을 칼로 썰어서 스테이크처럼 소화시켰다고 해석할까요? 아닙니다. 아 그냥 1등을 했다는 말이겠거니 하고 넘어갈 것입니다.
‘먹다’를 영어로 번역하면 첫 번째 뜻으로는 당연히 eat가 나오겠지만, 곁가지 뜻으로 다양한 단어들이 실려있을 것입니다. achieve, get 등등..
그 외국인이 ‘먹다’의 영어 뜻을 일일이 서로 다르게 외우면 이것은 분명 큰 스트레스이고 비효율입니다. 쓸데없이 더 외우다가 오히려 가장 중요한 핵심을 까먹을 수도 있습니다.
저에게 가상의 친구 철수가 있습니다. 저는 철수에 대해서 다양한 논평을 했습니다.
“철수는 좀 쳐맞아야 해”
“철수는 정신을 차려야 해”
“철수는 교육을 더 받아야 해”
“철수는 말 좀 들어야 해”
“철수는 욕을 좀 먹어야 해”
당연히 이 말들은 같은 말들입니다. 비록 달라보이는 포장을 해 놓았지만.
달라보이는 것들이 사실 똑같다는 것을 아는 것. 그것이 바로 통합적인 알고리즘입니다. 달라보이는 것을 똑같이 봄으로써 우리는 한정된 자원과 시간을 좀 더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영어 문제를 굳이 유형을 나눠서 따로따로 외우는 학생은 저보다 영어시간에 더 많은 에너지를 쏟아 부을 것입니다. 시간도 더 오래 걸릴 것이며 정답을 틀릴 확률 역시 쏟아넣는 노력에 비해 클 것입니다.
어떤 문제를 보고 “아 이 문제는 내 머릿속에 있는 목록 중에 1번->4번->6번->2번->1번->8번->7번의 유형이니까 이렇게 풀어야 해”라고 생각하는 학생과
“아 이 문제는 내 머릿속에 있는 목록 중에서 1번->4번->6번 유형이야”라고 판단하는 학생 중에 어느 쪽이 좀 더 편하고 시간과 노력을 아낄 수 있을까요? 첫 번째 학생은 옆에서 보는 사람도 피곤할 정도입니다. 두 번째 학생은 그냥 잠깐 고민하고 문제를 넘어갈 수 있습니다.
도구의 수는 적으면 적을수록 좋다는 것입니다. 닭 잡는 칼로 소까지 잡는 백정은 정말 뛰어난 백정일 것입니다. 굳이 소 잡는 칼을 따로 챙길 필요 없이 닭 잡는 칼 딱 한 개만 가지고 다니면 됩니다. 한 가지 도구로 더 다양한 상황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면 그 사람은 고수입니다. 연장을 한 개만 들고 다니니 깜빡 잊고 어디 두고 올 일도 없고 무게도 가벼워 빨리 움직일 수 있습니다.
알고리즘은 점점 나눠야 하는 것이 아닙니다. 점점 합쳐지고 종류가 적어져야 합니다. 학생들은 공부를 하면 할수록 더 다양하고 세세한 알고리즘으로 분화시키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이는 전혀 잘못된 생각입니다. 하면 할수록 알고리즘의 종류는 줄어야 하고 통합되어야 합니다.
왜 내가 스스로 영어를 잘했나? 에 대한 답은 나중에서야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저는 영어를 대할 때 다른 과목에 비해서 현격히 적은 개수의 도구로 다양한 상황을 유연하게 대처하고 있었습니다. 영어뿐만이 아닙니다. 각 과목의 고수들 또한 적은 도구로 다양한 상황을 처리하고 있습니다.
+ 수국비 광고를 조금만 하겠습니다.
원래는 전자책을 넘어서 종이책까지 출간을 예상했었지만.... ㅠㅠ 안타깝게도 종이책 출판은 여러 사정들이 겹쳐서 하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ㅠㅠㅠㅠ
현재 제 <수국비> 전자책은 오르비 전자책 아톰북스에서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굉장히 저렴한 가격으로 총 분량 800페이지의 전자책입니다. 여기서는 제가 여태 말했던 '지혜, 인지'를 비롯하여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접근법, 수능 출제자들의 의도에 따라 주제를 중심으로 문제를 빠르게 풀어내는 법, 글의 구조를 분석하고 어디에 집중해야하 할 지 등을 총망라하였습니다.
지금까지 나온 어떠한 수능 국어 비문학 관련한 자료 중에서도 가장 뛰어나다고 감히 자부합니다. 절대로 실망하지 않으실 것이리라 보장합니다.
https://docs.orbi.kr/docs/7325/
https://docs.orbi.kr/docs/7327/
학습이란 무엇인가(11편 예정)
https://orbi.kr/00019535671 - 1편
https://orbi.kr/00019535752 - 2편
https://orbi.kr/00019535790 - 3편
https://orbi.kr/00019535821 - 4편
https://orbi.kr/00019535848 - 5편
https://orbi.kr/00022556800 - 번외편 인치와 법치
https://orbi.kr/00024314406 - 6편
https://orbi.kr/00027690051 - 번외편 문과와 이과
https://orbi.kr/00030479765 - 7편
https://orbi.kr/00033799441 - 8편 + <수국비> 광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아 감긴가 0
마른기침 준내하는중
-
라이브인데 미루다가 3,4주차 추가영상을 못 봤는데 혹시 따로 구매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ㅠㅠ?
-
카드번호랑 CVC 유효기간 다외움 ㅋㅋㅋㅋㅋㅋㅋ 엄카로 메가대성 다 결제하는데...
-
커버는 무시하세요
-
난이도 꽤 잇는 문제 대가리박기 하는건 진짜 개꿀잼이다 ㅋㅋ
-
...
-
240620 이문제에서 g(3)=g(0)=0 이라는 식이 나오는데 전에는 상수항까지...
-
이거 차단당한건가요 20
웹소설 추천글 올리신 분이 저만 답글을 안달아주시는데 진짜 차단당한건가... 앞으로...
-
안녕히주무세요 1
요즘잘자쿨냥이모드취침
-
ㄱㄴㄷ로 내면 될걸 매번 채점으로 내는지 모르겠는 유형 1 글이 없어도 전혀 상관이...
-
정보) 현재 난리 난 네이버페이 대란 요약 .jpg 0
https://sbz.kr/zdk1D
-
현실안주vs그래도한번더해보자 사실 안주도 아니야 그냥 합리화지 결국 서울대에 못간...
-
그건죽창들어야지
-
학교 다니면서 반수할 수 있을까 동기들한테 들키기 싫은데
-
조건: 하루연락시간 다합쳐서 40분 전화카톡이것저것 다합쳐서ㅇㅇ 일부러그러는건...
-
일연 조건만 채우고 바로 내려서 연재라고 할 거는 없지만... 아무튼 일연임
-
난 솔직히 기만글은 별 거 없는 사람이 약간 눈살 찌푸려질정도로? 온몸비틀면서 기만...
-
1. 독재- 잇올, 이투스247 이번 수능 국어백분위99로 ㅈㄴ잘나왔는데 현역 때...
-
스타트 문제집 추천좀여
-
예를들어 꿈이룰개구리 징징이공주 이런애들있잖음? 오르비서버를 듀개만들어서 하나는...
-
댓글이 달려있네
-
수학N제 2
공통 4점 기출은 다 풀 수 있는데 굳이 입문N제를 풀어야 하나요?
-
캬
-
ㅋㅋ
-
작수 수학기출 문제만봐도 내가 이걸 어케풀었나 싶음... ㅈㄴ막막함
-
야설도 받음
-
인성 안좋아서 넌 망할거다 생각했던 애가 이번에 고대 문과 낮과 수시로 간거같음...
-
커피 사먹어야징
-
과탐을 못 버려서 울음이 광광 나오네
-
요즘에는 평가원에서 거의 안내려하는듯 아무래도 사교육 느낌이어서 민감해하는거 같음...
-
언미물지 99 92 2 88 80 올해 한양경영 갔습니다 삼반수 때는 사문 생윤이나...
-
ㅇㅈ 2
는 제 레슬링화입니다
-
징짜자러간다
-
네
-
n수하고싶어지고 컨텐츠욕심생기고 병신같은소리하는애들도 개나소나...
-
저게 어캐 한사람임?.
-
생2 어케 공부하셧나요
-
BL에는 떡신이 없으면 안된다라고 했었는데 요즘 약간 떡신없이 순수한 사랑만을...
-
필통이 너무 작은가봐요 필통 새로 사야지
-
지금 깨버림 2
왜지
-
이거 보고 6모 9모 수능 다 신청하기로 했다 이건 반쯤 농담이고 문득 실패만큼...
-
강민철T 안들음(문학은 들어볼예정) 작년에 이감샀다가 모고만풀고 버려서 좀...
-
성장호르몬은 잠에 든 후 2시간 정도 이후부터 분비된다.또한, 성장호르몬은...
-
곰탕 먹고싶다 8
파 많이 넣고 밥 말아서 깍두기 국물 풀기
-
ㅋㅋㅋㅋㅋ 0
새벽이라 ㅇㅈ검색순위에 있는 거 개웃기네
-
여기 사람들한텐 필요 없나
-
ㅇㅈ 16
스와힐리어의 ㅅ도 기억 안 남 ㅋㅋㅋ
-
이번까지 망하면 남에게 피해끼치지 말고 끝내자 근데 아직까지 이렇고 있네
단어책에 쓰여 있는 여러가지 뜻을 하나로 받아들이는 게 중요하더라고요
선생님 수국문은 없나요?
그리고 종이책으로 발간할 예정은 없으신가요?
네 아쉽게도 제가 대학생인데 ㅠㅠ 이제 제 전공 공부하고 또한 출판은 어른들의 사정으로 발간이 힘들거 같습니다 ㅠㅠ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여 죄송합니다 ㅠㅠㅠ
아쉽네요ㅠㅠ 알겠습니다
항상 정성글 ㄷㄷ 감사합니다 잘 읽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