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인드 처리된 글입니다.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우웅... 좀 안아깝고싶다
-
ㄹㅇ..
-
슬픔을 함께해주는 친구보다 경사를 함께 기뻐해주는 친구가 드문 듯해요 -> 함께...
-
휴우 끝 힘들다 3
ㄹㅇ
-
스스로 변태같다고 생각하지 않음?
-
패배 3
다음 리그 토트넘이던데..
-
글씨체 ㅇㅈ 0
글씨가 안이쁘네요 허하
-
그냥 안들어오면 되자나
-
제2 고사장이라 그런지 걍 유배를 와버린거임 학교를 개깡촌에 데이터도 안 터지고...
-
비비고랑 종갓집은 질렸어 이제
-
6시 45분에 잘만 일어났는데 요즘엔 왜 그게 안되냐
-
인강민철 함?
-
이미 팔에 받고 있는 창상흉터제거치료 이거 존나비싸고 귀찮아서 정신차리고 단념함 다신 안하기로
-
두부면으로 오일파스타해먹으면 느낌 지대로임요 마늘 얇게 썰어서 레드페퍼랑 소금,...
-
과점시장 ON
-
살면서 코카인 들어간 코카콜라 한 번 맛 보고 싶음 2
도대체 초기 코카콜라는 어떤 맛이었을까
-
배고프다 1
배꼽시계 울림
-
얘 왤케 잘놀아줌
-
김밥에 들어가있어도 빼고 먹음
-
잠이 안와…
-
나는 둘다 너무 좋은데ㅠㅠ
-
소신발언 25
스팸 싫어함 사실 소세지 잘 안 먹음
-
??
-
둘개 주면 뭐먹음? 전 닥전
-
물도 마시면 안된다니 너무하잖아
-
<-이거인데 입 180° 돌아가서 으흐흐 하고 음흉하게 웃는 것처럼 보임 아님 누가...
-
고딩되기까지 29일 남았는데 공수1(수상) 아직도제대로못함 아니 방학동안 풀려고...
-
이거 됐을라나요? 사촌동생이 서울대식 405인가 그랬다는데 쫄려서 걍 다른 대학...
-
캬 6
-
차이는 알 법한데 막상 내 상황이면 뭔지 모르겠다
-
저기보이는게 수험장임 걸어서 2분거리
-
감사합니다 7
설댕이.
-
챗지피티가 만들었음
-
눈썹정리 코화장 배우기 머리 다듬는법 배우기
-
ㅅㅂ 이게 맞아? 저긴 들어가고 싶었는데...
-
하나도 안 풀음 그해 수능 영어 1컷 94에 2컷 87이었는데 86점 떠서 3등급 받음 아
-
의대제외 전부되고 수학 +1문제면 의대도 되네요 이론상. . . .. .
-
수학 77점을 평백 91인가로 잡았었거든
-
쪽지하기 5
주기함수
-
써주셔서 감사합니당
-
문제로 이런거 나옴
-
평생 이러고 살고 싶다
-
반수시작하면서 10
공부하겠다고 마더텅 사다놓고 하나도 안 풀어서 수능치고 내다버림 ㅋㅋ ㅆㅂ내돈
-
더더욱 빛을 발하는게 맞나
-
이 정도면 상여자임? 28
교문 나오면서 메가스터디에 답입력했음
-
5퍼정도? 미지노가 어느정돌가
-
7키로만 더뺀다 3
ㄱㄱ혓
리겔님 질문하나만 하겠습니다.
천구를 이용해서 문제를 1차적으로 풀이하면서
[ 적위가 0보다 크니까 오래 떠있겠지 ] 따위로 확인하는 것은 지양해야 될 것인지 궁금합니다.
천구를 이용하며 풀다보니, 자연스럽게 위의 내용이 떠로는 것은 별 상관없을지...
그리고 올해 리겔 모의의 경우 전년도와 같은 천제 n제 형식으로 출판 예정이신지도 궁금합니다.
'적위가 0보다 크다'는 정량적인 비교를 나타낸 명제이고,
'오래 떠있을 거야'는 관측자 개인의 문제입니다.
두 문장의 성질이 다른데... 의미하신 바는 분명 다를거라 생각합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씀해주실 수 있는지요...? ^^
예를 들어 A라는 별의 적위값이 명시되어 있는 문제에서
보통은 천구를 그려서 A가 직접 천구상에서 지나가는 일주운동권을 파악 ㅡ 중심각(?) 180도보다 크니 12시간 이상 떠 있을 것이다. 라는 식으로 문제를 풀어냈습니다.
그런데
수험을 생활을 비정상적으로 오래하다보니
[ 그저 명시되어 있는 적위값] 을 보고
[ ㅇㅋ ㄱㅇㄷ 12이상 ]이라고 떠올리며
천구를 그리지 않고 파악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장기적으로 위험한 풀이법인지...
비슷한 형태의 문제를 많이 풀으셔서 그런 듯한데...
아무래도 똑같은 사고를 여러번 하면 구구단처럼 자연스레 익겠죠.
북반구 특정 한 곳에서 서로 다른 별들을 관측하는 경우라면
그러한 결론이 잘못된 것은 아니지만...
어쨌든 가장 안전하고 확실한 방법은 천구를 설계하는 겁니다.
정도(正道)로 공부하지 않고, 수능을 응시하지 않고
대학을 가기 힘든 것처럼
수험생이 천구를 그리지 않고 4단원 문항을 푸는 것은
자만일 수 있습니다.
씹선비 마냥 잡소리가 너무 길었는데,
제가 자꾸 정석적 풀이를 강조하는 것은
지구과학1이 화학1이나 수학 영역처럼
시간이 부족한 과목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하등 올바른 방법으로 풀지 않을 이유가 없기 때문입니다.
(제가 화학을 공부했다면야
윤즈 메쏘드나 박상현T 마냥 경우에 따른 최단 루트, 대비책을
정리해서 드렸겠지만...)
그리고 그런 사고가 굳다 보면...
다 풀고 나서 혹여나 범했던 실수를 되짚기 어려워진다는 점에서도
또 다른 위험 요소가 되진 않을까... 합니다.
좋아요 눌러놓고 좀이따 읽을게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