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달(정영훈T) [468934] · MS 2013 · 쪽지

2015-12-16 01:31:49
조회수 2,677

[오르비 학원] READING SKILL에 관하여.

게시글 주소: https://roomie.orbi.kr/0007153533

오늘 출강하는 학원에서 입시설명회를 진행하였습니다.

학부모님들과 대화하면서 [문제를 빨리 푸는 기술]에 대해서 질문을 하시는 분들이 많더군요.

"A 선생님은 빠르게 풀게 하더라, B 선생님은 전략이 좋으시더라." 등등

그런데 솔직히 말하면,


지문을 읽다보니, 그런 형태의 구조인 것을 깨닫는 것이지.

그런 형태의 구조를 처음부터 마음대로 결정짓고 글을 읽는 것은, 자신의 프레임에 갇히

는 거죠.


이걸 마치 스킬이라고 생각해서 문제풀이를 주구장창 그렇게 하는 데...

그게 아니라, 스킬을 배우다 보니, 나중에 글을 읽다가, "어? 이런 구조 아닐까?"하면서 예측하는

습관이 생긴 거라 생각해요. 저는


문제풀이 기술이라는 게, 참 학부모님들이나 학생들에게 맛있는 음식처럼 보이지만,

[불량식품]이 될 수도 있거든요.

사실, 어떻게 [소화]를 시키고,

이를 적용하여 무엇을 스스로 조심해야할지 학생들 [스스로]가 알면 좋겠지만

과정보다 [결과]를 중요시하는 풍토 때문에, 선생님들이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지요. 그러다 보면 나중에 [배탈]이 심하게 나는 것이고요.

그러니, 학원 강사나 선생님들이 이렇게 말을 하지요.


[READING SKILL은 글을 읽는 방법의 한 종류이지, 이것을 모두 적용해서 푸는 것은 아

니다. 글이란, 문맥적인 이해이다.]


그래 놓고, READING SKILL과 시간단축이라는 달콤함에.... '와 당했다...' 이러지 않았으면...


시간단축이라는 달콤한 말에 현혹되지 않았으면...

물론, 리딩스킬이 도움이 안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조심해야할 건 조심해야죠...

강사들은 이미 수업준비를 하고, 이미 지문을 읽어놨으니, 수업 시간에 빠르게 빠르게

치고 나가는 것이고요. 이것을 '체화'라는 단어로 설명하기에는 사실상 큰 무리가 있다고 봅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Beatus Puer · 409028 · 15/12/16 01:32 · MS 2012

    가르치는 사람들은 '음식' 이라고 생각하나, 처음 시도하는 사람들에게는 '불량식품'이 될 수 있는게, 각종 Skill 들이라고 생각합니다. 공감!

  • 수달(정영훈T) · 468934 · 15/12/16 01:36 · MS 2013

    맞아요. 그저 '정직하게' 가르치는 것. 그리고 그 와중에 '기술'들이 쌓여야 하는 것인데, 화려한 '기술' 때문에 '기본'이 사라지는 것 같아 아쉬움이 많습니다...

  • Beatus Puer · 409028 · 15/12/16 01:39 · MS 2012

    스스로 '음식'을 만들어 꼭꼭 씹어먹어야 하는데, 시간이 없다보니

    얘들아 이거 '음식'이야 (나한테는 '고급음식'임~) 하고 던져주니,,

    수강생들은 '불량식품'을 '고급음식'인줄 알고 먹다가 체하네요ㅠㅠ...

    수달쌤께서는 기본을 가르쳐주시는 선생님이 되실겁니다!

  • 수달(정영훈T) · 468934 · 15/12/16 01:43 · MS 2013

    응원 감사합니다. :)

    사실, 예전에 '불량식품' 만들다가, 불수능에 엄청나게 데였죠.

    나름대로, 스스로에게 합리화 시키기도 했었는 데,

    나중에 보니까 아니더라구요. 그래서 더욱이 '과정'에 대한 설명을

    수강생들에게 강조하는 것 같아요. 어떻게 오답으로 가는지에 대해서.

  • Beatus Puer · 409028 · 15/12/16 01:49 · MS 2012

    오르비 어디지점에서 강사하시는거죠??

  • 수달(정영훈T) · 468934 · 15/12/16 01:51 · MS 2013

    오르비 서초/교대 지점이니,

    교대 지점이라고 말씀드리면 될 것 같아요. :)

  • Beatus Puer · 409028 · 15/12/16 02:08 · MS 2012

    저 내일 교대점갑니다! ㅎㅎㅎ 저번에는 션선생님도 뵀는데, 내일 오후 2시쯤 갈 예정이라 뵐수있을지 모르겠네요ㅠㅠ!

  • 수달(정영훈T) · 468934 · 15/12/16 14:48 · MS 2013

    아, 학생이세요?

  • Beatus Puer · 409028 · 15/12/16 14:57 · MS 2012

    교대점 멘토로 활동할예정입니다!

  • 수달(정영훈T) · 468934 · 15/12/20 01:22 · MS 2013

    그러셨군요! 몰랐습니다.ㅎ
    영어과목 멘토이신가봐요.

  • Beatus Puer · 409028 · 15/12/20 12:30 · MS 2012

    국어 위주로 할것같습니다ㅎㅎ 사실 국어와 영어가 '비문학'과 '빈칸추론'/'주제찾기' 등등의 유형에서 사고방식이 흡사하다고 생각합니다!ㅎㅎ

  • 혼자한다 · 606495 · 15/12/16 07:24 · MS 2015

    근데 분명 필요하기만 한것들도 있지 않나요? 예전에 주제문제는 한문장만보고 답찍어라! 같은 김기훈류의 리딩스킬은 기피해야하지만.. 재진술이라던가 그런건 유용하지요? 변별해서 필요한것을 체화하면 되겠지요? 질문입니다.

  • 수달(정영훈T) · 468934 · 15/12/16 14:53 · MS 2013

    [혼자한다 님에 대한 답변]

    재진술은, 글을 읽으면 해결되는 것 아닌가요?

    편안하게 생각해보면 될 것 같습니다.

    번지르르하게 패러프레이징이다, 재진술이다. 이런 말을 할 필요가 없지 않을까 싶습니

    다.

    ex) 오늘 점심을 먹었어. 나는 짬뽕을 맛있게 먹었지. 한 오후 1시경에 식사를 했지.

    이 문장을 읽어 내려갈 때, '재진술'이라는 용어를 굳이 알아야만 하는지 의문이 듭니다.


    - 화려한 '용어'는 '모르는 사람'들에게 '멋져 보이는 것'은 사실이지만,

    가장 수험생들에게 와닿아야 하는 것은 '용어의 멋있음'이 아니라,

    그 안에 있는 내용 아닐까요...

    - 변별해서 체화하면 되죠. 그런데, 그 체화라는 것도 어떤 틀을 가지고서, 반복적인

    훈련을 하는 것이 아니라, 글을 읽다보면, 자연스레... 꺠우치게 되지요.

    - 그래도 안돼는 경우는 기본적인 실력이 있다는 전제하에, 기술이나, 이런 용어들에

    대한 도움을 받으면 새로운 세계가 열리곤 하죠. :) 그리고 등급이 수직 상승하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