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초에 문학을 언어논리적으로 접근하는건지
겸양은 틀린게 맞음
야인생애는 걍 화자의 처지 그대로 드러낸 것인데 겸손할리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철철모 생1 0
생명 한종철 철두철미 시즌2 체감 어떠셨나요 ?!
-
군수하시는분들 0
보통 나이대가 21~23이려나..?
-
본인 현역때 김승모 칠때마다 순위 쭉 매겨서 1등부터 몇등까지 써뒀는데...
-
표본 수준 ㅅㅂ
-
걍 궁예임
-
맘속으로 개 크게 난 내가! 정말 좋아 도라에모오오오오옹 하고 마저 하기
-
3개 뽑으면 몇회차 라고 생각하시나요?
-
우리나라 대통령 히틀러되면 무슨일 벌어짐?
-
시대 서바 홀수형 매번 70 후반 나오는데... 수능날 안정 2는 나오겠죠? 그리고...
-
왤까.... 왜지....
-
내 수능등급도 1일까?..
-
수능전에 밥한번 마지막으로 먹으려고 친구만났는데 헤어질때 어짜피 만점 못받으니깐...
-
혀녀기라 독서실에서 시험지만 받아 풀어서 백분위를 모르겠네요 언미영물지 원점수 96...
-
쉬운게 없다
-
성논 고사장 2
호암관 나왔는데 괜찮은 곳인가요? 어차피 안 보러 갈 것 같긴 한데 성대를 안...
-
진심 표본이 갈수록 진화하는 느낌 이.게 쉬웠어..?
-
우우 더프 등급 너무 절망적이라 울었어
-
와 컷 시발머슨
-
막판에 학원쌤 말 쌩까고 제맘대로 홍대 안썼다면 지금쯤 숭실대 다니고 있었을듯요...
-
군수생 달린다 4
수능 전까지 운동도 쉬어야겠군...
-
정법 시대 컨 6
서바, 서바 전국, 파브 중에서 뭐가 젤 어렵나요? 서바 보단 전국이 더 어렵대서...
-
매치포인트 summit 선지들 기출+자체제작+ebs인가요?
-
평가원모고나 수능같은데 나오면 27~30중 어느 난이도인가요? 중간4점??...
-
너무 과하진않고 딱 6모정도요
-
프사 바꿨당 4
-
수능며칠남앗어요 3
나는잘모르겟는뎅
-
일단 저는 수험생은 아니고요, 과외 몇개 하고있고 시대인재 서바 물1검토진입니다.....
-
민희진 컷 0
법원에서 가처분기각났네 ㅋㅋ 그냥 뉴진스 언플에 이용하는게 맞다니까 뉴진스는 그거에...
-
풀어보신분들 후기점여
-
그렇게까지 쉽진 않았는데.....
-
15번 예시문항 22번 변형같아서 일단 재끼고 나머지 다 풀고 돌아와서 20분박고...
-
아 시험 끝 4
개망한거같은데...그래도 술먹어야지
-
언미영물1지1 원점수 89 80 96 50 45 무보정 2 3 1 1 1 -> 보정...
-
9평치고 생명 9월꺼 오답 안하고 오늘 다시 풀었는데 그때 찍맞포함 36-> 지금...
-
지1 유럽이랑 북아메리카 고지자기에서 유럽 북아메리카 시계 반시계로 돌려서 경로...
-
국어 원점수 93 확통 원점수 84 영어 1 사문 원점수 47 세계사 원점수 44...
-
실모 볼 때 독서 문제 한문제는 못 풀고 끝내네 내 한계인가? 독서에 36분 쓰는데...
-
수학 찍맞 있어도 3이네 다행이다..... 국어도 간신히 컷에 걸림 진짜 점수는 92라ㄱㅊ긴한데;;
-
28학년도 정시에서 내신 때문에 문제될 일이 있을까요?
-
세종대 1
가고 싶당 파이팅!
-
혜화에 24시 스카나 구해야지 쓰벌
-
실모풀면 2~3개 틀리는데 남은기간동안 뭘 해야할까요?
-
지금 중고로 사서 풀고 있는데
-
아수라 과제풀때는 문학 답선지 고를때 근거가 명확해서 빠르게 푸는데 이감 모의고사...
-
이거 어떻게 답이 3번임 그리고 (가)의 a,b가 왜 N극을 띰? 내가 잘못알고있나...
-
근데 화작에서 2틀 의문사 ㅋㅋㅋㅋㅋ ㅜ 1회도 화작 2틀이였는데 화작 좀 돌려야겠다…
-
대치러셀 이것도 외부생 신청 받나??
-
이감 빡세다는 여론이랑 후기글은 많은데 한수 바탕 상상은 생각보다 적고 하는 사람...
-
더프 보정컷 2
더프 보정컷 기준 백분위가 화작 91 확통 89 영어 1 사문 100 동사 100...
-
왜 45냐 ㅅㅂ
화자가 자신의 처지를 어케 표현했냐가 중점 아닐까요 ? 어떤 작품은 똑같은 인생이라도 야인생애가 아니라 자부심 넘치는 최고의 인생이라고 표현하기도 하니까요 ..! 저는 개인적으로 ’야인생애‘는 겸양이 맞지만 선지의 앞부분이 ’야인생애‘에 한정해두고 판단 했을때 틀려서 틀렸다고 생각했습니다 ..! 조심스럽게 의견 드려요 ㅜ
그리고 야인생애‘도’라는 대조의 보조사 ’도‘를 사용했기에 야인생애 자체는 겸양이 맞지 않을까요오 ..?
싸우자는 건 절대 아니고 저도 아직 시원하게 답이 안 내려져서 답글 남겨봅니다 ㅜㅜ!
네 아예 아닙니다. 님 풀이는 주관을 개입하셨습니다
보기의 정보에 따르면 야인생애 자체는 아쉬움으로 봐야합니다
편집문학 특성상 보기에 있는 정보와 지문에 있는 정보가 완전히 대응된다고 단정 지을 수 없지 않나요?
맥락에 맞는 구절에 적절히 대응시키는 것이죠.
전체 구절을 본다면 보기의 자족감에 대응된다고 볼 수 있지만 분명 선지에서는 그 구절 전체가 아닌 ‘야인생애’라는 단어만을 인용했고 그러므로 이 야인생애에 한정해서는 자족감은 허용되지 않는다고 생각했습니다! 혹시 이 부분도 다르게 생각하실까요?
자족감을 느끼긴하는데 화자 생애 전체를 자랑스럽게 느끼는건 아니죠
야인생애에 ‘한정’했기 때문은 아니고요 야인생애가 전체입니다
ㅠㅠㅠㅠㅠ 아 너무 어렵네요.. 사실 아직도 납득이 안 가는데 좀 더 생각해보겠습니다 .. 야인 뜻 찾아보니 2 관직 안 나가는 사람 3 시골에 사는 사람 이렇게 있던데 3이면 … 되지 않을까 싶어서 자꾸 맴돌게 되네요 ㅜ
그렇게 단정짓기엔 여태기출에 속세랑 은거사이에 갈등하다가 그래도 지금있는 자연이 좋아+겸손을 드러내는 경우가 꽤 있어서 작품 전체맥락을 보면 언어논리적으로 틀리다고 단정짓긴 힘든거같아요
오히려 해당 수가 보기에 제시된 성공?하지못한 회포에 해당하는 구절이니까 겸양은 아니지로 접근하는게 더 명확한느낌이에요
반대로 만약 해당 수가 맥락상 보기에나온 개인적 취미?에대한 자부심애 관한 수였으먼 겸양의 표현을 맞다처리할수 있을거고요
야인생애=관직에 나아가지 못한 회포의 마음이 녹아있는 생애라
화자의 있는 사실 그대로 드러낸 것이지 겸손을 수반하진 않았어요
물론 현장에선 저도 님처럼 풂
<보기>의 자족감은 1연을 말하는 것 같네요. 관직에 나아가지 못함 아쉬움이 있으면서도 분재에 대한 만족감을 느끼는 것이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