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칼럼] 선택과 집중
(사진은 행당산 꼭대기뷰/분량이 작아서 ㅎㅎ;;)
수험기간의 반절이 지나가고 있습니다
겨울때부터 열심히 하신분들은 그때보다는 실력이 늘은것을 느끼겠으나, 자신의 현 상태를 보면 아직 목표 성적치에 다다르는것이 매우 까마득하게 느껴지실겁니다.
보통 이때즈음 되면 정시파이터분들은 기본 문제
(예를들어 화작에서의 35~37, 수학에서의 1~10,
영어에서의 19~23, 사문/생윤에서의 1&2번과 같은)들을
어지간해서는 다 맞추게 되시는 분들도 계실겁니다.
그렇지만 이런 문제들을 가끔 틀리곤 합니다.
9월달에 실모 풀때도 뜬끔없이 탐구 1,2번이 헷갈린다거나,
채점했을때 갑자기 틀려있거나. 보통 그럴때는 "아, 아는건데
왜 생각을 잘못했지?" 싶죠
이럴때 해당 부분을 유념해놓으면 좋지만,
(Ex.이런식으로 생각했다가 의문사 당할수도 있겠구나)
불안감에 해당 파트를 통으로 다시 공부하신다거나 하는
행동들은 조금 과할수도 있습니다.
수험생활은 한 인간으로서 느끼기에는 너무 길어서 고통스럽고,
또 학생의 입장에서 해당 과목을 마스터하기에는 너무 짧아서
고통스럽다고 생각합니다.
대부분의 사람은 전과목을 마스터할순 없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죠.
인간은 보통 확실한것을 좋아합니다.
약간이라도 불확실성이 있다고고 느껴지는 순간 굉장한 불안감에
휩싸이기도 합니다.(특히 상위권 대학을 노리시는 분들은)
만약 여러분이(특히 실모시즌/9~11월에)
탐구 1,2번을 97%의 확률로 맞추고,
도표/유전등을 65%의 확률로 맞추는 사람이라면,
어느정도 시간이 있으시다면 그 빈 3퍼센트포인트를 채우려고
하루정도 해당파트를 다시 빡! 잡아보시는것도 좋겠지만은,
당장의 어려운 문제 정답률을 높이시려고 노력하셔야합니다.
어려워서 풀기 싫어도 계속 풀려고 노력하셔야합니다.
풀기 싫을수록 더 풀려고 의식하셔야합니다.
풀기싫다고 수능장에서 닷지할수는 없잖아요?
고정만점, 고정 백분위99는 현실적으로 힘듭니다.
100%의 확률을 만드시려고 하지 마시고,
안정적인 백분위 97 정도의 확률을 만들면, 수능장에서
백분위 99를 충분히 띄우실 수 있습니다.
곧 6모라는 반환점이 보이니 대역전극 한번 만들어봅시다.
0 XDK (+1,000)
-
1,000
-
현재 미적분 시발점 수강중인 예비 고3입니다. 제가 중학교 때 거의 공부를 안하다가...
-
하이라이트 개잘함 ㅎㄷㄷ 브금도 챌린저끼리의 게임 같은 웅장함이 있어서 보는 맛이 쏠쏠함
-
미적분 시발점 6
현재 미적분 시발점 듣고있는 예비고3입니다 중학교 때 공부를 거의 안하다가 고2 때...
-
얼마전에 아빠 연봉 들었는데 이정도면 중산층은 되는건가요..?
-
하나는 GUI의 UI가 진심 개구리고 하나는 속도가 너 무 느림 근데 컴퓨터 켜놓으면 되니까 머..
-
살면서 했던 가장 큰 ㅈㅎ는 롤 계정 삭제임
-
졸린다졸려
-
여자심리좀 12
전여친이랑 헤어진지 반년정도 됐는데 제가 헤어지고 3~4개월정도 뒤에 여사친이랑...
-
새벽담배 못참지 7
술도마셧고..근데 넘추워
-
저 망한거 맞죠...?
-
제발요
-
뭐 그럴수도 있긴하지 나도 결핍있어서 커뮤 계속하는거기도 하고
-
링크 클릭하시고 # 오르비 글 클리너 버전 alpha by 54fox...
-
어제는재밋앗는데 서버가 ㅂㅅ임
-
어떤게 더 좋다고 보시나요?
-
계속 목이말라 물배차겠다
-
ㅇ
-
어떻게든 구해서 풀어보고 싶은뎅 ㅜㅜㅜ
-
아..
-
수험기간이무슨..
-
그 유명한 171130, 181130 풀어보지도 아늠
-
잘자유 4
오르비 터져서 딴 거 하면서 할 거 해야징
-
ㄹㅇ 괴수인가
-
심심하다 심심해 0
모재밋는거없나
-
"항공정비 기술사"
-
배고픈데 켄치밥 이러고있네 싸이코패스냐
-
기하서 교수님 4
https://orbi.kr/00032717203 너무 감동인 것임. 이걸 보고...
-
그냥 할복함 1
死
-
엄밀한지는 몰?루
-
서버가살짝 5
하
-
예전에 돌진메타 이런거였을때 넘 슬펐능데
-
작년엔 하루 조발했잖아
-
롤하고싶다 4
으흐흐흐흐
-
뭔가 재밌을 듯
-
하.. 12
숏츠에서왜 음식이나오지 라면이.아아아아
-
좌표계중에, Barycentric 좌표계라고 잇음 (우리가 고등학교에서 쓰는건...
바나나기차님 칼럼이 참 좋습니다. 다들 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