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소설의 기초
수능 내신 할 것 없이 기본으로 알고 있어야 할
현대 소설의 기본 이론입니다~
소설의 특징
소설이란 현실 세계에서 있음직한 일을 작가가 상상하며 꾸며낸 이야기로, 독자에게 감동을 주고, 인생의 진실을 표현하는 산문 문학의 대표적 갈래이다.
1) 허구성(虛構性)
작가는 실제의 인생에 대한 관찰에서 그 소재를 끌어오지만, 그의 의도와 상상력에 따라 새롭게 선택하고 창조, 형성하기 때문에, 가공적(加工的)인 이야기이다.
2) 산문성(散文性)
소설은 주로 서술, 대화 묘사에 의해 기술되는 대표적 산문 문학이다.
3) 진실성(眞實性)
소설은 허구의 세계를 그리고 있지만 인생의 참모습과 진리를 추구하여 인생의 의미를 깨닫게 한다. 따라서 소설의 이야기는 삶에 관련된 진실성과 현실성을 가진다.
4) 서사성(敍事性)
소설은 이야기의 문학이기 때문에 극적으로 전개되는 구성, 즉 인물, 사건, 배경 등을 갖추고 일정한 시간 흐름이 있는 이야기이다.
5) 예술성(藝術性)
소설 문학 예술인 만큼 형식미와 예술미를 갖추어야 한다.
소설의 갈래
1) 분량(길이)에 따라
① 장편(掌篇) 소설 : 제일 짧은 소설로 콩트(conte)라고 한다. 짧은 분량 안에 많은 것을 함축해야 하기 때문에 작가의 뛰어난 기교와 재치, 해학이 필요하다.
- 손바닥 장(掌)
② 단편(短篇) 소설 : 200자 원고지 100매 내외의 소설로 인생의 단면을 그린다. 따라서 주제, 구성, 문체가 단일하여 통일된 인상을 준다.
③ 중편(中篇) 소설 : 200자 원고지 200 ~ 500매 정도로 단편 소설과 장편(長篇) 소설의 중간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주제나 구성 등은 장편(長篇) 소설에 가깝다.
④ 장편(長篇) 소설 : 200자 원고지 100매 이상의 것으로, 사회의 총체적인 모습을 그린다. 따라서 주제, 구성. 문체가 복합적이고 복잡한 양상을 띤다.
2) 작가의 의도에 따라
① 순수 소설(본격 소설) : 소설 작품의 예술성을 추구하는, 즉 예술적 아름다움이나 문학적 가치 외의 어떤 목적도 거부하는 소설을 말한다.
② 목적 소설 : 작품의 효용성(效用性)을 중시하여, 독자에게 교훈의 제시를 목적으로 삼는 소설이다.
③ 대중 소설(통속 소설) : 독자에게 흥미나 즐거움을 주기 위한 것으로, 문학적 가치나 예술적 아름다움이 무시된 소설이다.
3) 작품이 쓰여진 시대에 따라
① 고대 소설 : 개화기 이전에 쓰여진 소설을 말한다.
② 신소설 : 개화기 이후부터 이광수의 ‘무정’(1917)이 쓰여지기 전까지의 소설을 말한다. 고대 소설과는 달리 언문일치에 까까운 문장으로 자유 연애, 신교육과 미신타파 등의 계몽적 내용을 담고 있다.
③ 현대 소설 : 이광수의 ‘무정’(1917) 이후부터 쓰여진 소설을 말한다. 내용과 형식면에서 전 시대의 소설보다 다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4) 기타
① 인물의 묘사 방식에 따라 : 인물의 성격 묘사를 위주로 한 성격 소설과, 내면 의식의 흐름을 주로 묘사한 심리 소설이 있다.
② 작품의 주제나 소재에 따라 : 농촌 소설, 해양 소설, 전쟁 소설, 계몽 소설, 모험 소설 등이 있다.
소설의 문체
1) 작가와 문체
문체란 말의 개성적 특성으로, 어떻게 조직되고 일정한 질서를 이루고 있는가의 표현 방식이다. 따라서 문체는 작가의 개성의 표현이라고도 할 수 있다. 즉 작가는 작품의 주제와 내용을 가장 적합한 방식으로 자신의 개성적인 문체를 사용하는 것이다.
2) 문체의 요소
① 서술(敍述) : 설명하는 문장으로, 인물, 배경 등을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이다.
② 묘사(描寫) : 인물, 배경, 장면 등을 구체적으로 그려 내는 표현 방법이다.
③ 대화(對話) : 등장 인물들이 주고받는 말로, 사건의 전개와 인물의 심리와 성격 등을 알려 주는 표현 방법이다.
소설의 인물
1) 인물의 유형
① 성격의 변화 여부에 따라
· 평면적 인물 : 작품 속에서 성격이 일정한 인물. 정적(靜的) 인물.
· 입체적 인물 : 환경이나 사건이 전개되면서 성격이 변화하는 인물. 동적(動的) 인물.
② 성격에 따라
· 전형적(典型的) 인물 : 일정한 연령층, 직업, 성별 등에 따른 특성을 보이는 인물.
· 개성적(個性的) 인물 : 특정한 부류나 계층에 속하지 않는 자기만의 개성이 두드러진 인물.
③ 작품 속의 역할에 따라
· 주동(主動) 인물 : 소설 속에서 중심적 역할을 하는 인물. 주인공.
· 반동(反動) 인물 : 주동 인물과 맞서서 갈등, 대립하는 인물.
④ 작품 속 중요도에 따라
· 주요 인물 : 주인공.
· 주변 인물 : 이야기의 진행을 도와주는 인물.
2) 인물의 제시 방법
① 직접적 제시 : 서술자가 직접 인물의 성격을 설명해 주는 방법. 분석적 방법.
② 간접적 제시 : 인물들의 외양 묘사, 행동, 대화 등을 통해 나타내는 방법. 극적 방법.
3) 인물의 묘사 방법
① 외양 묘사 : 인물의 생김새, 옷차림, 표정, 동작, 행동 등의 겉모습을 묘사.
② 심리 묘사 : 인물의 심리, 내면의 모습을 묘사. 심리 묘사는 복잡한 인상을 준다.
소설의 갈등
갈등이란, 인물의 심리 혼란이나, 인물을 둘러싼 외적인 요소들과 혼란의 상태를 말한다.
1) 내적 갈등
개인 내부의 심리적 모순에 의해 일어나는 갈등 양상. 양심 ↔ 비양심, 사랑 ↔ 증오, 선의(善意) ↔ 악의(惡意)의 갈등
2) 외적 갈등
적대자나 반동 세력과의 갈등 양상.
① 개인과 개인 사이의 갈등 : 소설 속에서 중심이 되는 인물(긍정적 인물)과 그 반대되는 부정적 인물 사이의 갈등.
② 개인과 사회의 갈등 : 개인이 살아가면서 겪는 사회 윤리나 제도와의 갈등.
③ 개인과 운명의 갈등 : 개인의 삶이 어쩔 수 없는 운명에 의해 좌우되는 데서 오는 갈등.
소설의 배경
소설에서 배경(背景)은 행위나 사건이 일어난 시간과 장소를 가리킨다. 배경은 인물과 사건을 보다 사실적이고 생동감 있게 그려내고, 작품 전반에 독특한 분위기나 정조를 조성하기도 하고, 사건 전개와 주제를 드러내는 데도 도움을 주기도 한다.
1) 배경의 종류
① 자연적 배경 : 시간 · 공간적 배경.
② 사회적 배경 : 시대적 상황, 역사적 흐름.
③ 사상적 배경 : 작품의 밑바탕에 깔려 있는 사상(思想).
소설의 구성
구성(plot)이란 소설에서 이야기를 전개할 때 필요한 요소들을 일관성있고, 그럴 듯하게 작자가 계획적으로 짜낸 틀을 말한다.
1) 구성의 요소
① 인물 : 소설에 등장하는 사람들.
② 사건 : 등장 인물들의 행동.
③ 배경 : 사건이 벌어지는 때와 장소.
2) 구성의 전개 방식
① 발단 : 인물과 배경이 제시. 사건의 방향을 암시.
② 전개 : 사건이 점차 발전하는 단계. 갈등이 표면화된다.
③ 위기 : 갈등이 고조(高潮)되는 단계.
④ 절정 : 갈등이 최고조의 이르는 단계. 사건 해결과 주제가 제시된다.
⑤ 결말 : 모든 사건과 갈등이 해소되는 단계.
3) 구성의 유형
① 사건의 복잡성에 따라
· 단일 구성 : 하나의 사건에 대한 이야기만으로 전개되는 구성. 주로 단편 소설에서 사용된다.
· 복합 구성 : 두 개 이상의 사건에 대한 이야기가 복잡하게 얽혀서 전개되는 구성. 장편 소설에 많이 사용된다.
② 사건의 진행에 따라
· 평면적 구성 : 사건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과거 · 현재 · 미래’로 전개되는 구성
· 입체적 구성 : 사건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진행되지 않고 거꾸로 ‘현재 · 과거 · 미래’, 또는 ‘과거 · 미래 · 현재’ 등으로 전개되는 구성. 주로 심리 소설에 많이 사용되는 구성 방식이다.
cf) · 옴니버스 : 버스를 여러 대 이어 놓은 것처럼, 하나의 주제 아래 여러 가지 이야기나 요소들이 독립적 형태로 이어진 형태.
· 피카레스크 : 인과 관계에 의한 사건의 진행 보다는 각기 독립된 여러 가지 사건들을 개별적으로 나열해 가는 병렬적 구성 방식. 그러나 개별적 이야기는 전체적으로는 하나의 이야기틀에 속한다.
· 액자 구성 : 이야기 속에 또 다른 이야기가 들어 있는 구성. 즉 안 이야기(내화)와 밖 이야기(외화)로 결합되어 있는 구성을 말한다.
소설의 복선
복선(複線)은 앞으로 일어날 사건을 인물들의 행위나 대화 및 여러 방법을 통해 미리 짐작하게 하는 소설적 장치이다. 이는 앞으로 일어날 사건이 우발적, 돌발적으로 일어난 것이 아님을 보여 주어, 그 사건에 필연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소설의 시점
시점(視點)은 누가 어떤 위치에서 사건을 바라보고 이야기하는가, 즉 서술자의 위치와 시각을 말한다.
1) 시점의 종류
① 1인칭 시점 : 소설 속의 ‘나’가 서술자가 되어 이야기를 하고 있는 시점.
· 1인칭 관찰자 시점 : 주인공인 ‘나’가 자기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 시점.
ㄱ. 작품 속의 ‘나’가 주인공이자 서술자이다.
ㄴ. 등장 인물의 내면 세계를 제시하는데 효과적이다.
ㄷ. 독자에게 신뢰감과 친근감을 준다.
ㄹ. 인물과 독자와의 심적 거리가 가깝다.
· 1인칭 관찰자 시점 : 소설 속의 부수적 인물인 ‘나’가 주인공의 이야기를 하고 있는 시점.
ㄱ. ‘나’는 관찰자이며 인물의 초점은 주인공에게 있다.
ㄴ. 주인공의 내면을 숨김으로써 긴장감과 경이감을 자아낸다.
ㄷ. ‘나’의 눈에 비친 외무 세계만을 다루는 제한이 있다.
② 3인칭 시점 : 소설 밖의 인물(작가)이 서술자가 되어 이야기를 하고 있는 시점
· 작가 관찰자 시점(=3인칭 관찰자 시점) : 서술자(작가)가 외부 관찰자의 위치에서 이야기를 서술하는 시점
ㄱ. 외부 관찰에 의거하여 해설이나 평가를 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제시한다.
ㄴ. 극적(showing)이고 객관적인 특성을 지닌다.
ㄷ. 현대 사실주의에서 주로 사용되는 시점으로, 단편 소설에서는 극적 효과를 얻기 위한 수법으로 효과적이다.
· 전지적 작가 시점 : 서술자가 인물과 사건에 대해 신(神)처럼 전지 전능한 입장에서 이야기를 서술하는 시점.
ㄱ. 서술자가 전지적 위치에서 등장 인물의 심리상태나 행동의 동기, 감정, 의욕 등을 서술한다.
ㄴ. 작가의 사상과 인생관이 직접 드러난다.
ㄷ. 서술자가 작품에 광범위하게 관여하기 때문에 독자의 상상적 참여가 제한될 우려가 있다.
서술자의 위치 | 인물, 사건의 내면적 분석 | 인물, 사건의 외부적 분석 |
소설 속 (‘나’) | 1인칭 주인공 시점(주인공 ‘나’가 자신의 이야기를 함) | 1인칭 관찰자 시점(부차적 인물인 ‘나’가 주인공의 이야기를 함) |
소설 밖 (작가) | 전지적 작가 시점(전지적 작가가 사건과 인물의 내면을 이야기를 함) | 작가 관찰자 시점(작가가 외부 관찰자로서 이야기하는 경우) |
소설의 거리
소설에서의 거리는 작가(서술자)와 독자, 작가(서술자)와 작중 인물, 작중 인물과 독자 사이의 거리 및 독자와 작품사이의 심적(心的) · 미적(美的) 거리를 말한다.
‘서술자 – 대상 – 독자’의 관계에서 대상을 중심으로 볼 때, 1인칭 주인공 시점은 ‘서술자 = 주인공’ 이므로 서술자와 대상의 거리가 거의 없고, 작가 관찰자 시(3인칭 관찰자 시점)은 가장 멀다. 반면, 독자의 입장에서는 대상과 독자의 거리가 1인칭 주인공 시점이 가장 멀고 작가 관찰자 시점(3인칭 관찰자 시점)이 가장 가깝게 느껴진다.
작가는 ‘작자 – 서술자 - 등장 인물 – 독자’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여 박진감과 현실감, 객관적 느낌 등을 조절하고, 이를 통해 작품의 사실성(reality)을 살릴 수 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Team PPL 칼럼 80호] 같은 문제, 다른 풀이 0
안녕하세요. 저는 이번에 새롭게 물리팀장을 맡게 된 박지호라고 합니다. 앞으로...
-
4.라니냐 때에 무역풍 세기 쌔지니까 동태평양 페루 연안에서 혼합층의 두께는 바람의...
-
저기압 표층수 발산해 해수면이 낮아지면 그에따른 보충력에 따라 용승일어난다 즉...
-
난류는 염분은 높은데 영양염류는 낮다 한류는 염분은 높은데 영양염류는 높다....
-
클러스터 모의고사 링크 나온지 1달 만에 절판된 모의고사 유명 강사 출제진이 직접...
-
@nitro_chemistry 공식 인스타그램을 통해 다양한 화학1 컨텐츠들을...
-
4월 손글씨 해설 & part.2 개강 & 6평대비 0
안녕하세요 최진영T입니다. 4월(?)학평 손글씨 해설(+유사 기출 포함)입니다...
-
아미노산의 가짓수(종류)를 구할 때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 부분, 돌연변이가 일어나지...
-
특정 대립유전자 상대량에 대해 2와 0이 공존하는 두 구성원은 부모-자녀 관계가...
-
다수의 문제들에서 잡종 유전자형 개체 수와 특정 형질의 개체 수의 비를 제시하곤...
-
교배의 순서는 자유롭다. 이는 교배에서 교환법칙과 결합법칙이 성립하기 때문이다....
-
4월 학평 화학1 전문항 분석 선공개! + 학평 분석이 필수인 이유 2
안녕하세요! 팀Nitro 서연입니다 :) 고3 / N수 여러분 5월에 치르는 4월...
-
[원글] https://orbi.kr/00062937916 대성에서 6평 대비로...
-
형질 발현 비율의 분자, 분모의 비율 관계를 통해 우성 형질, 열성 형질, 전체...
-
A>B>D 복대립에서 3가지 표현형이 발현되려면 (= 최열성 표현형도...
-
복제 중인 가닥에서 유라실이 있는 영역에는 프라이머가 존재한다. 그에 따라 유라실...
-
화학 쉽게 나왔네요 등급컷 47각 어려운 것도 없어고 다 무난무난요네요 2번...
-
적중 7
안녕하세요 :) 오늘 시행된 5월 모의고사 보고 오시느라 너무너무 고생...
-
2023 4모(5모) 생1 자체 제작 해설지 배포합니다! 4
안녕하세요! 생명과학 1 과목을 가르치고 있는 하드워커입니다. 요즘 이것저것 너무...
-
안녕하세요. 신준섭입니다. 2023년 4월 학력평가 보시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
단일 가닥과 이중 가닥의 염기 정보가 동시에 주어진다면 이중 가닥의 염기 정보...
-
유전자 유무 유형의 문항에서 알고리즘 첫 번째는 핵상 판단이다. 세포 간 ox...
-
사람의 유전에서 X염색체가 Y염색체보다 크다는 사실은 익히 잘 알고 활용하나...
-
강대에 야심차게 4개 넣었는데 얘만 짤렸네요. (+ qu 속도 조건은 과조건입니다. 그냥 필요없음)
-
기본 문항으로 샤가프 법칙 대신 유전 물질 지엽 문항이 출제될 수 있다. 이때...
-
참고: 이 칼럼의 목적은 실전에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스킬의 제공이 아닌 화학 1에...
-
첫 번째 상수 설정은 일반성을 잃지 않는다. 그에 따라 비율 관점으로 관찰할 수...
-
문제 조건 중 (A+T)/(G+C)를 행렬의 관점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실전개념...
-
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게 주어지는 문항에서 변화 방향은 동일하다. [2024학년도...
-
유전자 절단이 일어난 플라스미드 전제, 특정 항생제에서 군체 형성 대장균의 종류가...
-
PCR을 미시적으로 질문하기는 어렵지만 거시적으로 몇 가닥의 이중 가닥이 생성되는지...
-
과분극은 재분극 막전위 구간에 포함된다. 만약 -80mV에 해당하는 지점이 재분극이...
-
400만원 뿌림 19
안녕하세요 :) 5월 교육청 그리고 6월 평가원 시험을 대비할 수 있는 모의고사를...
-
별로 안 어려운듯 (+2번째 문제 시계방향은 만들고 보니 노쓸모..)
-
그래프 양상을 적절히 정의한 후, 과분극 구간의 막전위에 대해 세부적으로 질문하는...
-
여러 가지의 케이스가 한 가지로 좁혀지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
안녕하세요! 수능화학연구팀Nitro 서연입니다. 어린이날 잘 보내고 계신가요?...
-
우선, (나)에서 점전하 D가 추가되니 B에 작용하는 전기력이 0이 되었다는 사실을...
-
해수의 성질에는 무엇이 있을까 4가지가 있다. 1차성질 2가지, 2차성질 2가지...
-
■ [2024학년도 지구과학 I ] 수능특강 전문항 손풀이집 공개 2
안녕하세요. 신준섭입니다. 만료되었습니다. 재공개 예정없습니다. 드디어 완료하여서...
-
Massive N제 화학1 해설입니다. 업데이트 일시는 매일 밤 10시입니다....
-
A와 B는 같은 빗면을 내려오기 때문에 가속도가 동일합니다. A의 속력이 v가 되는...
-
안녕하세요, 어제 인사드렸던 수능화학연구팀Nitro의 양서연입니다. 말씀드렸던 대로...
-
Massive 링크 출시되었습니다. Massive N제 (물리학1) [KICE...
-
저쪽 갤러리에 올린 칼럼들을 다 내릴까... 고민하다가, 하나는 안 알리고 싶은...
-
수능 화학1을 준비하는 우리들에게 - 화학1 주간지 컨텐츠 배포 예고 5
이 글이 저와 함께 미래를 마주할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화학...
-
생명과학도 클러스터! 11
클러스터 모의고사 생명과학1 (판매링크) 업계최고의 과탐 모의고사가 출시되었습니다....
-
안녕하십니까 제고비입니다. 저희 책은 일주일에 Day 5씩 푸는 것을 권장하기에...
-
안녕하십니까 제고비입니다. 저희 책은 일주일에 Day 5씩 푸는 것을 권장하기에...
-
안녕하십니까 제고비입니다. Massive N제가 나오고 일주일 정도가 지났습니다....
그쳥 국어에도 분명히 개념이 있는디 몰라서 못하는 학생들이 많더라구요잉
이건 그냥 탁하면 턱 나와야 빨리품니다잉
여기는 스키 임티가 읎넹
짧은 소설을 장편이라고 하는 건 첨 알았네요
오타가 아니라니
한자가 그래서 들어가있어요~ 손바닥 장자를 써서 장편입니다 ㅎ 손바닥만한 소설이지용
고거 신기해할듯해서 수정해놔써용!
현대소설 교육론 보면 요즘은 저런 형식상 시점론은 안중요하다는 쪽으로 가는거 같던데
실제 평가원 문제도 누구를 초점자로 하는지가 더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죠
멋져요
고마오요 언니!!^^ 평가원에서 좋아하는 단어들이 모여있네용
헐랭 살아있었고마잉 >< 건강해야해잉~~~~~~~~~~~~~~~~~~~
혹시나 국어 자료 필요한일있음 말해줭!!! 제로베이스라고 저런식으로 예시지문 있는 자료잇어!! 다있어!!
고마오요 언니! ㅋㅋ 으아아 하지만 공부할시간을 내기가ㅠㅠ!!!
왜 독자의 입장에서는 대상과 독자의 거리가 1인칭 주인공 시점이 가장 멀고 작가 관찰자 시점(3인칭 관찰자 시점)이 가장 가깝게 느껴지나요? 1인칭 ‘나’면 몰입하면서 가까워지는 거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