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문 대학은 대학의 역사와 동문 아웃풋으로 만들어집니다.
2020년 12월, 조선일보 인물 DB에 수록된 학부 및 대학원 출신자들 기준으로 집계됐습니다. 또한 분+분교 모두 합산된 지표입니다. (예 : 한양대의 경우 서울본교+에리카분교 합산)
1위부터 6위까지는 사회 각계별 유명동문 1만명 이상의 대학으로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한양대, 성균관대, 중앙대 순입니다.
7위는 부산대, 8위는 경북대가 차지했습니다. 지방거점국립대의 대표격인 두 대학의 위상은 인서울 여느 대학과 견줬을때 결코 밀리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어서 9위는 경희대, 10위는 동국대입니다.
11위부터 20위까지는 건국대, 영남대, 전남대, 한국외대, 이화여대(▲이대는 전년대비 1계단 상승), 서강대(▼서강대는 전년대비 1계단 하락), 동아대, 인하대, 단국대, 홍익대 순입니다.
21위부터 30위까지는 조선대, 전북대, 충남대, 국민대, 명지대, 계명대, 숭실대, 경남대, 원광대, 가톨릭대 순입니다.
31위부터 40위까지는 강원대(▲강원대는 전년대비 1계단 상승), 경상대(▼경상대는 전년대비 1계단 하락), 충북대, 서울시립대, 경기대, 대구대, 청주대, 아주대, 제주대, 광운대 순입니다.
글로벌 헤드헌팅 전문기업 유니코써치가 발표한 2020년 국내 1000대 기업(상장사 매출액 기준) CEO 출신 대학 분석 결과에 따르면 대표이사 또는 사장급 이상 등기임원 1633명 중 서울대 출신은 243명으로 1위입니다. 이어서 2위는 고대(121명), 3위는 연대(114명)입니다. 이들 3개 대학 다음으로는 한대(79명), 성대(45명), 중대(39명) 순입니다.
부산대는 중대 다음 순위인 7위(37명)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작년도 30명보다 7명이나 늘어난 수치입니다. 부산대 아웃풋은 현재진행형이고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전망입니다.
물론 성공을 위해 본인이 노력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다만 우리나라에서 개인의 성공과 학벌의 관련성은 가늘면서도 가깝게 엮어져 있습니다. 대학 인지도와 위상은 결국 동문 아웃풋으로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것입니다.
※ 카이스트, 포스텍 등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은 위 순위에서 예외에 해당합니다.
대학 진학시 참고하세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기만하는 새기들은 다 죽는다
-
하 들켰네
-
생활패턴 박살나는거 끔찍히 싫어해서 1교시수업도 괜찮으니까 학점도 알차게 받는다고...
-
공학계열은 시간표가 이미 짜여졋는데 수업빠지면서 수능공부 가능할가요?
-
막상내가그거하면존나재미없고개트롤임에휴얼굴이랑롤실력다가진프레이가밉다
-
술 취할정도로 마시는 사람을 못본거같음
-
약속나가기귀찮다 1
안씻었는데에응
-
대체 멀하길래
-
새터가고싶다 2
1박 2일은 괜찬자나?
-
마지막인데 참여에 의의를 둬서 많이들 볼거 같은 기분이....
-
길거리 캐스팅 당함.
-
음 6
-
6시기상이면 10시엔 자야하는데
-
간첩 싫어하시네 20 30들이여 깨어나라!!
-
공부함
-
버스안에서 9
나는매일학교가는버스안에서항상같은자리앉아있는그녈보곤해하지만부담스럽게너무도도해보여어떤말도붙일자신이없어
-
퇴소?
-
고1은 뭐부터 가르쳐줘야하냐... 6분걸려서 다 틀리고 중학교때 듣기도 반타작 했다는데..
-
강기분 듣는데 솔까 강의 계속 같은내용 반복이고 해설인데 편당40분 개오바아님??...
-
ㅡㅡ
-
입시학원에서 오늘따라 계속 근처 사람들이 나 흘깃 보고 밥 먹을 자리 많은데...
-
새터전 밥약? 15
긍데 원래 이렇게 연락오는거 맞음?
-
잘본적이없으니까.
-
연고대 못가서그런가
-
노미현은살아있다 4
근데뭐
-
최종적으로 다른데 등록할거같으면 기숙사 신청 안해도 되죠? 일단 학교 등록은 해 놨어요
-
지하철에서 오르비를 맘놓고 못하네 에휴이
-
I get too comfortable with you 9
get too comfortable, yeah
-
특히 에일리언 오댕이 레어는 진짜 안됨뇨
-
CPA희망하는데 경희대 국캠은 어문이고 부산대는 경제학과라면 님들 어디감? 본가...
-
강의 반복 정독을 더 해야하는건지 ㄹㅇ노베한테 김준쌤이 어려운것인지
-
캬
-
고1때 한능검공부 빡세게 해서 1급 딴 이후로 고1부터 고3까지 모고 한국사 1등급 놓친적이없음
-
응
-
위에게 전에거임
-
1+1+1+1.... 이 제일 빠른 경우는 2017 수능 27번 격자 좌표 딱 4개...
-
메가스터디 광고도 아니고 강민철 광고임 ㅋㅋㅋㅋㅋㅋ 못 넘긴다 캬
-
목시 방동진 or 박준호.. 3월부터 들을거라 첫 커리 날리는데 이러면 구림뇨?...
-
근데 일년더하긴 싫음 그래서 안할거임
-
ㅇㅇ 닉네임 보통 실명틱한 가명으로 하는 편인데 오르비는 별생각없이 영린7함 주로...
-
60억이 아니라 이젠 80억 지구야...
-
불편해하시는분들 많나여?
-
대체 여기서 존나 선동하면서 가입일 15년전 이런새끼들은 뭐임? 37
어떤 특정 학과나 직업같은거에 목매여서 계속 까거나 찬양하고 그러거나 정치글이나...
-
유튜브 보면 2,3년전까지는 수업할때 엄청 웃으시고 썰도 자주 푸시던데 올해...
-
재수를 생각하고 있는데 국어, 수학을 어떻게 공부해야 할지 몰라서 여쭈어 봅니다....
-
키는 작은데 14
진하게 생겨서 하나도 안 어울리네 키라도 크든 여리하게 생기든 했음 좋았을텐데
-
골라보세요
꾸준추ㅋㅋ
크으~ 연뽕한사발 후루룩후룩 마시고갑니다~
부산대 탈출 마렵다..
가장 최근인 2020년 12월기준으로 작성한 2020년 사회각계별 유명동문전체통계현황이야말로 정계 관계 법조계 언론계 재계 금융계 학계 의약계 문화계 방송계등 각 대학교 단과대학으로 구성된 대학교의 아웃풋을 총체적으로 측정할수있는 바로미터로 가장 중요한 지표라고 봅니다.
1위부터 6위까지는 사회 각계별 유명동문 1만명 이상의 대학으로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한양대, 성균관대, 중앙대등 소위 말하는 명문대학교 입니다.
명문 대학은 대학의 입결및역사와 동문아웃풋으로 만들어지는것입니다.
이외에 지방거점국립대학을 대표하는 부산대 경북대를 포함 경희대 동국대 건국대또한 유명대학이라 봅니다. 앞으로 고3수험생들이 대학선정시 참고할수있는 중요한 자료라 봅니다.
꾸준글 1추
시켜줘 부산대 명예사시로
서강대ㅜㅜ 애초에 입학정원이 적어서 슬픕니다
통계볼때마다 느낌 ㅠㅠ
서울대는 다 1등이노 ㅋㅋ
외대문과는 54년 개교 이공계는 80년대 초에 개교라 감안해야
설마 저기 추미애도 잇겟지
이분 3년전부터 똑같은거 계속 올렸었네...
그때 인서울못하시고 부산대 가신건가 굉장한 원한이있으시네... 이런게 훌리라고 하는건가 이젠 제발 원한 풀고 잠드소서
ㄷㄷ
감안해야 할 점.
1. 서강대처람 대학 인원수가 적은 경우 대학의 역량에 비해 아웃풋이 적어 저평가 당하기 쉽다.
2. 부산대처럼 특정 지역에서의 강세가 두드러지는 경우 본인이 사는 지역에 따라 대학의 인식차가 심하다.
3. 영남대처럼 과거 아웃풋과 현재 아웃풋의 괴리감이 큰 경우 제대로 된 학벌이라 보기 어렵다. 예전 선배들이 후배들을 인정해주지 않기 때문.
4. 분야별로 대학 서열이 다르고, 학벌의 가치가 다르다. 법조계처럼 학벌을 심하게 따지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프로 스포츠처럼 학벌 따지지 않고 실력이 우선시 되는 경우가 있다.
5. 대학 입결은 현재 재학생들의 선호도를 반영한다. 주요 동문들은 현재 대학의 사회적 인식을 반영한다. 입결이 낮아진다고 해서 인식이 낮아지는것도 아니며, 인식이 높다고 해서 입결이 올라가는것도 아니다.
근데 1은 좀 생각이 다른것이 어떻게보면 대학 동문수야말로 학벌의 가치이자 핵심 요소 중에 핵심이기때문에 예시로 들어주신 서강대가 인원수 때문에 저평가를 받는다고 보기보다는 통계대로 동문에 있어서는 서강대가 부족한 면이 많다고 보는게 옳지 않을까요? 학교 인원수가 동문수로 어느정도 직결되는 면이 있기 때문에 학교 인원수도 하나의 대학 경쟁력입니다. 한양공대, 고려대가 이부분을 자교의 매력포인트로 잘활용하고 있는 예시죠. 이때문에 많지는않지만 연대보다 고대를 선호하는 학생이 있을정도로요. 선후배 끌어주기같은, 사회에서 동문은 정말 큰 힘입니다. 그의 정반대격인 서강대는 인원수 때문에 동문이 적은거니 저평가하지마라가 아니라 서강대는 인원수 때문에 동문과 끌어주기가 약한 대학이라고 봐야죠 저는 오히려 서강대가 이런 약점을 소수정예라는 식으로 가려서 그동안 고평가 받은 부분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Ps) 서강대 자체가 고평가를 받았다는 것이 아니라 동문이 약한건 그것 자체로 커다란 약점일 뿐인데 그부분을 지나치게 잘 감춰오지 않았나 그런 의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