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사 이야기 4편 - 선택과 집중
전쟁사 이야기 4편 - 선택과 집중
이 세상 누구도 무한한 자원과 시간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누구에게나 자기에게 허용된 예산이 있으며, 자기 나름대로 이것을 효율적으로 지출하기 위해 고민합니다. 따라서 자신에게 주어진 것들 중에서 포기하는 것과 선택하는 것이 나뉠 것입니다.
체육종목은 정말 다양합니다. 각 종목의 선수들은 자신이 맡은 단 한 가지 종목을 위해 모든 것을 쏟아 붓습니다. 식단과 생활패턴, 리듬까지 자신이 가진 모든 것을 집중적으로 쏟아 붓습니다. 그런데 어떤 육상선수가 자신은 지금 하고 있는 종목뿐만 아니라 수영에서도 1등을 하고 싶다면서 수영훈련까지 병행한다면, 과연 그 선수는 성공할 수 있을까요?
우리는 인생에서도 포기할 것과 얻을 것을 선택해야 합니다. 적절한 선택과 집중 없이 모든 분야를 얇게 공부하는 것 또한 가치가 있지만, 자신이 확실히 내세울만한 전공이나 전문분야 없이는 먹고살기도 힘들 것입니다. 얼마나 선택하고 또 얼마나 집중해야 하는가는 사람들마다 가지각색이지만, 선택과 집중이라는 것은 모든 사람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개념입니다.
전쟁사에서도 이러한 딜레마를 관찰할 수 있으며, 어떤 국가는 전체적인 자원과 병력이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승리한 경우가 왕왕 있습니다. 우리가 가진 물자와 전력을 어디에 얼마나 효율적으로 배치하느냐에 따라서 보다 적은 힘으로 큰 힘을 이길 수도 있습니다.
지난 2탄 유추와 추론 편에서 등장한 미드웨이 해전을 다시 한 번 예시로 들어보겠습니다.
미드웨이 해전을 앞둔 미 해군의 상황은 대단히 암울했습니다. 선전포고도 없이 기습적으로 실행된 진주만 공습에서 주력을 손실한 미 해군은 태평양 전쟁 개전 초에 일본 해군에게 주도권을 빼앗기고 질질 끌려다니는 처지였습니다. 그러나 다행히 전함을 대다수 잃었으나 항공모함이 온전히 남아있던 미군은 반격을 준비합니다. 동시에 일본 해군 또한 미처 끝장내지 못한 미 해군의 항공모함을 격멸하기 위해 적을 유인, 섬멸하는 작전을 준비합니다. 이것이 바로 미드웨이 해전의 배경입니다.
(양측의 뚜렷한 의도와 목적을 바탕으로 발발한 미드웨이 해전. 서로가 당연히 자기 자신이 이길 것이라 예상하였다. 제2차세계대전해전사 p.172
https://blog.naver.com/imkcs0425/60153448859)
비록 미 해군의 홈그라운드인 미드웨이 섬을 중심으로 전투가 발발한다는 점이 있긴 했으나 절대적으로 미 해군의 전력이 약세인 상황이었습니다. 당시 미 해군의 일부는 대서양과 지중해에서 활동 중이었고, 동맹국인 영국은 혼쭐이 나서 전혀 도와주지 못하는 상황이었습니다. 반대로 일본 해군은 자신들이 가진 강력한 전력을 움직일 수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당시 일본 해군은 절정에 닿은 수준으로 세계적인 수준의 항공모함을 비롯하여, 자신들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점령한 상태였습니다.
이때 일본 해군은 역사상 가장 큰 병크를 터뜨립니다. 당시 일본 해군은 어떻게 하면 미국을 굴복시키고 항복을 받아낼까? 여러 가지 방법을 고민하고 있었습니다. 생각이 너무 많았던 일본 해군은 미드웨이 해전 당시 미드웨이뿐만 아니라 동시에 많은 지역 또한 목표로 하고 있었습니다. 한 작전을 실행하면서 동시에 수많은 목표를 추구했기 때문에 온전히 전력을 집중하는 것이 불가능했습니다. 그 결과 200여 척에 달하던 일본 함대 중 미드웨이 해전에 직접적으로 투입된 함선은 20여 척에 불과합니다. 나중에 밝혀지긴 하지만, 결국 미드웨이 해전은 일본 해군이 그 외에 추구하던 모든 목표의 의미를 깔아뭉개버립니다. 결국 가장 중요한 대전제인 미드웨이 해전에서 패배하면서 동시에 추구하던 수많은 목표들은 유명무실하게 됩니다.
반면 미 해군은 자신들이 가용할 수 있는 모든 자원을 미드웨이 섬을 비롯한 근처 전투 부대에 쏟아 넣습니다. 미드웨이 섬에는 끊임없이 물자와 무기가 보급되어 쉴 틈 없이 요새화 작업이 진행되었습니다. 또한 ‘요크타운’이라는 항공모함은 얼마 전 발발했던 산호해 해전에서 큰 피해를 입고 수리 중이었습니다. 함선 한척도 아쉬웠던 미 해군은 이 요크타운을 어떻게든 미드웨이 전투에 투입시키기 위해 인력을 갈아넣으며 준비합니다. 대단히 여유롭고 자신들의 승리를 믿어 의심치 않던 일본 해군과 달리, 미 해군은 정말 모든 힘을 쥐어 짜내서 강력한 한방을 준비합니다.
(미 해군의 전투기에게 공격받는 일본의 항공모함 카가, 히류, 소류, 아카기. 당시 강력한 일본 해군의 전함들은 지나치게 멀리 떨어져서 이들을 구원하지 못했다. shattered sword p.233
https://blog.naver.com/imkcs0425/60157242673)
당시 일본 해군에는 우리에게도 친숙한 ‘야마토’라 불리는 세계 최대의 전함이 있었습니다. 이 외에도 일본 해군의 전투력은 매우 강력한 수준으로, 미드웨이 해전에 직접적인 참여가 있었다면 충분히 승패가 달라질 수 있었다고 평가됩니다. 그러나 쓸데없이 함선을 멀리 배치하여 이러한 강력한 함대는 아군을 지원하지 못하고 멀리서 무선 통신만 하는 수준이었습니다.
미 해군보다 총체적인 전력에선 압도적인 우위를 가진 일본 해군은 미드웨이 해전에서 그 강력한 전력을 전혀 집중시키지 못합니다. 그 결과 홀로 떨어진 일본의 항모 기동부대는 아군의 도움을 받지도 못하고 미국 전투기들에게 뚜들겨 맞고 침몰합니다.
호랑이는 토끼를 사냥할 때도 최선을 다한다는 말이 있었습니다. 일본 해군은 연이은 승전에 자신감이 넘쳤고, 그것을 넘어 여유와 자만을 부릴 정도로 심각한 정신상태를 보여주었습니다. 분명 미드웨이 해전은 일본 해군이 충분히 이길 수 있는 전투였으나 자신의 힘을 온전히 집중시키지 못하고 역습을 거하게 당하게 됩니다.
전쟁사에서 선택과 집중은 여전히 많은 지휘관들의 골치를 썩이는 문제입니다. 어디에 병력을 집중할 것인가? 집중한다면 얼마나 집중시킬 것인가? 좀 더 효과적으로 병력을 집중한 지휘관은 승리할 수 있습니다. 미드웨이 해전은 전력의 효율적인 집중이 얼마나 필요한지 보여준 예시입니다.
이번 이야기는 수능 국어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에 앞서 여러분들에게 환기시키고 싶은 내용이었습니다. ‘선택과 집중’ 우리의 아이큐는 180이 아닙니다. 우리에게 수능 국어 1교시는 80분에 불과합니다. 이러한 한정된 자원 속에서 수능 국어, 특히 시간을 많이 잡아먹는다는 비문학을 풀 때 무엇에 집중해야 할까요? 비문학 지문에 수많은 개념이 있는데 그걸 다 이해하고 외워야지 문제를 풀고 1등급을 맞을 수 있을까요?
앞으로 저는 여러분과 함께 수능 국어에서 어떤 것이 중요하고, 어떤 부분을 집중적으로 볼 것인가 연습을 할 것입니다. 여러분의 통상적인 생각과 달리 수능 국어에서는 집중해서 보아야할 부분이 뚜렷이 정해져 있습니다. 만약 여러분의 아이큐나 읽는 속도가 충분하다면 불필요한 것까지 보고서도 시간 내에 시험을 끝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한정된 에너지와 뇌 용량을 가졌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것부터 머릿속에 담는 훈련을 할 것입니다.
전쟁사 시리즈(약 11편 예정)
https://orbi.kr/00020060720 - 1편 압박과 효율
https://orbi.kr/00020306143 - 2편 유추와 추론
https://orbi.kr/00020849914 - 번외편 훈련과 숙련도
https://orbi.kr/00021308888 - 3편 새로움과 적응
알고리즘 학습법(4편예정)
https://orbi.kr/00019632421 - 1편 점검하기
학습이란 무엇인가(11편 예정)
https://orbi.kr/00019535671 - 1편
https://orbi.kr/00019535752 - 2편
https://orbi.kr/00019535790 - 3편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야 고양이.롤켜 0
키라고
-
오르비 수준이 높은거야 음음..
-
메디컬 갈꺼 아니면 사문 하나끼고 사탐런이 맞는듯 머리 아프게 과탐 들고 있을...
-
ㅈㄱㄴ
-
?
-
있음요?
-
음..
-
(서울대 합격 / 합격자인증)(스누라이프) 서울대 25학번 단톡방을 소개합니다. 0
안녕하세요. 서울대 커뮤니티 SNULife 오픈챗 준비팀입니다. 서울대 25학번...
-
https://sbz.kr/zdk1D
-
여긴 높공, 중간공, 낮공 중 뭔가요?
-
술먹음 안되는데..
-
개빡치네 진짜 나 같이 20살에 정신차린 놈은 어쩌라고
-
머리가 좋아서? 왜 머리가 좋으면 부러운가? 능력이 좋아서? 왜 능력이 좋으면...
-
학교가기시러
-
가능하다고하셈
-
흥!
-
다시 보낸 등록금 고지서에 국장 반영되어서 금액이 달라졌다는데 걍 그대로임...
-
설뱃 너무 많네 10
ㄹㅇ
-
☺️계명대학교 약학대학 2025학년도 약학부 신/편입생을 찾습니다☺️ 0
계명대학교 약학대학 2025학년도 신/편입생을 찾습니다! 안녕하세요☺️ 저희는...
-
안녕하세요!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제 46대 학생회 입니다. ☺️ 서울대학교...
-
내꿈..
-
저도 합격에 성공했네요 소수과여서 합격권이어도 조금 불안했는데 붙어서 다행이네요..
-
시발제발요
-
나 cc인디..
-
경제가 391뚫렸다는 소문이 있던데..
-
오르비 은근 0
메디컬 버리고 설대가는사람 많네 메디컬이 인생 유일목표인 N수악귀가 대부분인줄...
-
그냥 안되는거겠지...ㅋㅋㅠㅠ 뭐 어차피 3칸이었지만,,,
-
오르비는 서울대 천지
-
나이의 숫자 때문임? 아니면 외적으로 나이가 많아 보여서 그런거임?
-
홍익대 공대 0
예비 70번 추합 돌까요??
-
나온거 있나요?
-
인 척 하는 진학사 디스를 진학사 합격수기에 적음 검수하는 관계자놈은 보고 부끄러움을 느끼길
-
서울대를갔구만
-
S 받음 2
S
-
서울 살이 오늘도 힘들었음 ㅠㅠ 울고 싶지만... 난 누군가의 가장처럼 누군갈...
-
하..
-
이과 한정 아닌가 과탐지정때문에 홍익대 되는데 건동은 안되는 사람들 좀 있을거라...
-
운동해서 땀남 2
안씻고 자면 경제력 향상 가능?
-
수업 중이느라 합격 발표 정시 됐는데도 확인 못 한 상태로 결과 어떨지 긴장만 하고...
-
공통수학교과서사고싶은데
-
얼마주고하심
-
가볍?게 62000원 씀
-
동국대 불교 붙은 엔수생인데요. 원서 접수하기 전부터 한번 더 할 생각이었어서...
-
ㄹㅇ
-
N수니까 서울대 합격증만 얻고싶어짐 그리고 어딘가에 푹 빠지긴 했는데 그 분야를...
-
오랜 생각이당
아 그렇구나 .. 또 군 지휘체계도 분산됬다고 들었는디
그냥 전쟁사인줄 알고 눌렀는데 학습에서 이어지는 흐름이군요. 글 잘 읽어볼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