란초파탈 [305746] · MS 2009 · 쪽지

2012-11-03 13:50:07
조회수 1,367

님들 지1개념 제대로 잡혀있는지 마지막으로 확인들어감ㄱㄱ

게시글 주소: https://roomie.orbi.kr/0003157094

..은 아니고 제 질문좀 받아주세요 
ㅠㅠ   지1신 소환


1.  작년 수능20번 ㄱ.보니까 금성이 내합 이후 밝기가 증가한다고 그러는데 왜그런것인가요?

    그리고 문제집 풀다보니 금성은 최대이각때보다 (위상이) 초승,그믐때 더밝다고 하는데 왜그런것인지요..


2.  천동설이랑 티코브라헤의절충설에서 지구는 자전도 안하는 완전 정지상태인데 
  
     그럼 하루에 태양이 뜨고 지는 현상은 어떻게 설명되나요??  저 모형들에서는 단지 태양이 지구를 하루에

     1도씩 공전할 뿐이잖아요.. 


4.  혜성이 태양을 지날때 태양 E에 의해 질량이 감소하는데 어떻게 점차 소멸하지않고 궤도를 계속 도나요?


5.  기상학 파트에서 고기압이냐 저기압이냐는 그 주변공기온도와 관련이 있나요?

    예를들어 고기압이 오면 무조건 온도가 낮아진다거나..   

     우리나라로 오는 고기압은 대륙성이기때문에 대체로 온도가 낮은건가요?/

    기출을 풀다가 현재 우리나라위엔 저기압이있고 점차 다가오는 서쪽에 고기압이 있는데

     '다음날은 온도가 낮아질것이다 ' 이 선지가 맞다고 그래서요.. 궁금합니다.

6.  고기압이 지도상에 있을때 정체성 고기압인지 이동성고기압인지 어떻게 아나요??

7.  지구형행성,목성형행성 배우기전에 나오는 태양계탐사 내용있잖아요.. 예를들어 마젤란호가 언제 

     어디 가서 ... 궤도선회.... 보이저2호 이런것들 다 알아야 되는게아니라 문제 나오면 최대한 

    상식 동원해서 푸는건가요?? 아님 다 외워야 하나요..      수능은 자료 해석 잘하면 풀수 있게끔 나오죠..??


9.  지구입장에서 태양을 보면은 태양이 동에서 서로 자전하는걸로 보이잖아요 ..(왼쪽→오른쪽)

    그래서 그걸 관측자가 투영법으로 투영된 상을 보면  서에서 동 (오른쪽→왼쪽) 으로 움직이는걸로

    보여야  되는것 아닌가요?? 왜  태양 투영법 기출 문제들을 보면 투영된 흑점들이 

    동에서 서로 움직이나요?/ㅠㅠ

    방향이 헸갈리네요.. 움직이는 그대로 투영되는게 아닌가요?

10. 태풍의 속도는 전향점때 가장 느리고 이후는 편서풍때문에 북동진하면서 계속 빨라지나요??

     그런데  대륙위(우리나라)를 지나면 세력이 약해지잖아요.. 그럼그때부터

     느려지지않나요?? 전향점이후 속도의 양상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해요

     그리고 태풍의 세력과 속도는 어느정도 비례관계인가요?? 

     


조금 쓸데없는 질문일지도 모르겠지만 답변 부탁드립니다 ㅠ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치님 · 393958 · 12/11/03 13:59 · MS 2018

    7번빼고 모두 제정리안에 다룬내용이라 다행

  • Klassic Krystal · 415560 · 12/11/03 14:11 · MS 2012

    나머진 이치님 자료에 다 들어있다하시니 7번만 설명하겠습니다.
    궤도선회와 근접통과의 근본적인 차인 궤도선회는 뱅글뱅글 도는거고(그행성을) 근접통과는 말그대로 통과한다는 겁니다.
    주로 중력을 이용해서 더 외계로 갈목적으로...(그러면서 겸사겸사 통과하며 사진 찍는것)
    수능은 그런거 외울필요없고요... 다만 수능에서 한번 화성사진주고 ㄱ. 궤도선회해서 찍은거다(화성을).
    로 나왔는데 문제를 자세히 읽어보면 표면전체를 찍은 사진이라고 했거든요... 그래서 ㄱ 보기는 맞는겁니다.
    이거말고는 궤도선회나 근통에대해 딱히 물어본저근 없는듯.,,,
    님 질문하신거랑 딴대답을한것같은데.... 결론은 그렇게 지엽이로 안 묻는다는겁니다.
    다만 자료해석으로 이것이 근통이냐 궤선이냐 정도.....

  • 이치님 · 393958 · 12/11/03 14:38 · MS 2018

    그렇죠.. 수능에서 저정도까지 더럽게 묻진않을거라생각합니다.
    중학교내신도 저러진않을듯.. 전 저런거나오면 틀리렵니다.

  • Klassic Krystal · 415560 · 12/11/03 15:47 · MS 2012

    ㅋㅋㅋ 에이 어떻게든 맞춰야줘 게다 님은 3년연속 fifty ㅋㅋㅋ

  • 아디없음 · 402447 · 12/11/03 14:52 · MS 2012

    지구형 행성은 암석으로 이루어진 행성이라 밀도가 크고 착륙탐사 가능하고
    목성형 행성은 공기로만 이루어져있어 착륙탐사가 불가능해요
    궤도선회했다는건 소행성이나 목성형 행성들은 착륙탐사가 힘들기 때문에 궤도선회한다고 하는경우가 많고요
    표면 전체찍은건지 일부찎은건지는 문제 그림에 힌트가 있거나 행성특징 고려하면 별 문제 될 내용은 아님

  • 싸구려홍차 · 203635 · 12/11/04 12:03 · MS 2007

    1. 금성은 내합과 최대이각 사이에서 가장 밝습니다
    달은 지구와의 거리가 일정하므로 위상이 클수록 밝게 보입니다
    그러나 금성의 밝기를 결정하는 요소는 위상외에도 거리요소가 있기 때문입니다


    2. 천동설에서 태양의 뜨고 짐은 천구가 시계방향으로
    하루에 한바퀴 회전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님이 말하는 하루에 1도 반시계 방향으로 공전하는 것은
    계절에 따른 별자리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것입니다.
    즉 태양은 하루에 한바퀴 시계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반시계방향으로 1도씩 운동한다는 것입니다

    3. 3번 질문은 없네요?

    4. 혜성은 한덩어리로 이루어진 천체가 아니어서 혜성의 궤도에는
    혜성의 잔해물질이 많습니다. 1회공전하면 약 1%정도의 질량 감소가 일어납니다.
    오랜 시간이 지나면 결국 혜성은 사라질 것입니다


    5. 고기압은 한랭한 것도 있고 온난한 것도 있습니다 .
    기출에서 서쪽에서 다가오는 고기압의 영향으로
    다음날 기온이 낮아질 것이다 라고 하는 것은
    다가오는 고기압이 겨울철의 한랭한 고기압이기 때문입니다.
    (일기도를 보고 겨울철 일기도 임을 파악해야함)


    6. 정체성인지 이동성인지는 규모를 보고 파악하면 됩니다.
    이동성 고기압은 규모가 좀 작고 한반도 기준으로 대체로 동서로 배열되어 나타납니다


    7. 탐사방법의 뜻은 알아야합니다 . 통과비행, 궤도선회, 연착륙
    주요탐사선의 활동은 외운다기 보다 몇차례 정도 읽어두면 자료 해석할 때 수월합니다.


    8. 8번은 없네요


    9. 태양 흑점을 맨눈으로 볼 수 있다면 동에서 서방향입니다(왼쪽에서 오른쪽)
    망원경으로 보면( 망원경은 도립상) 반대로 오른쪽에서 왼쪽입니다
    이를 다시 투영판에 투영시키면 망원경으로 보는 것과 반대가 됩니다(왼쪽에서 오른쪽)
    즉 반대의 반대가 되어서 투영판에서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것입니다


    10. 태풍의 이동속도에서 정해진 규칙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보통 전향점을 지나면 이동속도도 빨라지고 편서풍의 영향으로 북동진하게 됩니다
    태풍의 이동에 관한 문제는 특정태풍의 자료가 주어지면 그에 따라 해석하면됩니다.

    참고로 싸구려홍차는 재야에서 지구과학 지도하는 사람입니다 ㅎ

  • 란초파탈 · 305746 · 12/11/06 16:16 · MS 2009

    정말정말 감사합니다 ㅠㅠ 천사에요 천사 천국가실거에요 ㅠㅠㅠ 궁금증이 해결되었네요 ㅠㅠ
    복 많이받으시고 좋은일만 있으시길..